본문 바로가기
깨알지식

육식하는 인간과 기후위기_chat gpt, 쳇 지피티 ...아주 간단한 대화의 결과<9>

by 갈대상자 2023. 8. 8.
반응형

육식하는 인간과 기후위기_chat gpt, 쳇 지피티... 아주 간단한 대화의 결과 <9>

기후위기에 자료들을 찾고 동영상들도 뒤지다 보니 인간의 발전 및 풍요로운 삶을 위한 행동이 곧 지구의 생명과 바꿔먹기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정리 잘해주는 쳇지피티에게 물어보았다.

Q. 인간의 육식이 탄소배출과 어떻게 관계가 있는지 설명 가능할까?

A. 인간의 육식과 탄소배출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육식 생산과정은 탄소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며, 이는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주요한 관련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축의 소화 작용: 육식 생산을 위해 기르는 가축들은 소화 과정에서 메탄이라는 강력한 온실 가스를 방출합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CO2)보다 수십 배 더 강력한 온실 가스로, 지구 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 비료 및 에너지 사용: 육식 생산을 위해서는 대량의 비료와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비료 생산과 사용에는 에너지와 자원 소모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탄소배출이 증가합니다.
  3. 가공과 운송: 육류 생산과 가공, 유통을 위해서는 냉동, 보존 및 운송에도 상당한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탄소배출이 발생합니다.
  4. 산림 파괴와 목축용지 개발: 육식 생산을 위해 산림을 파괴하고 목축용지를 개발하는 과정에서도 탄소흡수가 감소하고 탄소배출이 증가합니다.
  5. 포장과 폐기물: 육류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포장물과 폐기물은 탄소배출을 증가시킵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육식 생산과 소비는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에 기여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식단을 개선하고, 채식 또는 비건 식단으로 전환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육식의 탄소배출과 환경적 영향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 그렇다면 쇠고기 600g을 생산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물을 사용해야 하는지 설명 가능할까?

A. 쇠고기 생산에는 수많은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한 물 사용량을 계산하는 것은 복잡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쇠고기 생산에는 상당한 양의 물이 필요하며, 육식 생산이 물 부족 문제를 가중시키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쇠고기 생산에 사용되는 물은 다음과 같은 과정들을 포함합니다:

  1. 축사에서의 물 사용: 가축에게는 식사와 음료뿐만 아니라 청결을 위한 물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축사에서는 수많은 가축들에게 매일 수십 또는 수백 리터의 물을 공급해야 합니다.
  2. 식량 생산과 가공 과정: 쇠고기 생산을 위해서는 가축들에게 먹이가 필요하며, 이러한 먹이를 생산하고 가공하는 과정에서 물이 많이 사용됩니다.
  3. 도축과 가공: 가축을 도축하고 쇠고기를 가공하는 과정에서도 물이 사용됩니다. 쇠고기를 세척하거나 냉동하고 포장하는데 물이 필요합니다.

위의 과정들을 고려하면, 쇠고기 600g 생산을 위해 약 5,000 리터 이상의 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 생산 방법, 환경 등에 따라 물 사용량은 상당히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대략적인 추정 값일 뿐입니다.

물 부족이 지구 전반적인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물 사용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농업과 식생활을 채택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줄이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더 많은 식물 기반 식품을 소비하거나 물을 절약하는 농업 기술을 개발하여 지구 환경을 보호하고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Q. 가축 한 마리가 방출하는 가스가 suv 한대가 방출하는 가스보다도 양이 많다던데...

A. 가축 한 마리가 방출하는 가스와 SUV 한 대가 방출하는 가스를 비교하는 것은 다소 어려운 일입니다. 이는 가축이 방출하는 가스와 자동차가 방출하는 가스의 성질과 구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입니다.

가축이 방출하는 가스는 주로 메탄(Methane)이며, 이는 주로 소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CO2)보다 수십 배 더 강력한 온실 가스이기 때문에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반면, 자동차의 가스 배출은 다양한 영향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자동차의 배기가스에는 주로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가스들은 고속도로 주행, 연료의 종류, 차량의 연비, 차량의 엔진과 배기 시스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축이 방출하는 메탄과 자동차가 방출하는 가스는 직접적으로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축이 방출하는 메탄은 전체 온실 가스 배출량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후 변화와 관련된 중요한 영향 요인 중 하나입니다. 자동차가 방출하는 가스 역시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다양한 산업부문에서의 온실 가스 배출로 인해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따라서 가축이 방출하는 메탄을 줄이는 노력은 기후 변화와 환경 보호를 위해 중요한 과제로 여겨집니다.

고기 먹는 것 좋아하는 제 입장에서는 정말 생각을 많이 하게 하는 대목이었습니다.

내 식탁 위에 고기 한 접시가 올려지기 위해 사용되는 물은 생각지도 못했고, 또 이렇게 상업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키워지는 축산 산업으로 인해 기후위기에 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의 가스가 방출되고 있다는 점 또한 소름이 돋는 진실이었습니다.

미국 소설가 조너선 사프란 포어는 저서 ‘우리가 날씨다’에서 “만약 전 세계의 소들을 하나의 국가로 친다면, 중국·미국에 이어 온실가스 배출이 세 번째로 많다”라고 분석했다.

;

서울환경연합은 소고기 1㎏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은 1만 5500ℓ이고, 토마토 1㎏을 기르는 데는 180ℓ밖에 필요하지 않다”며 “농·축산업이 전체 담수 사용량의 70%를 사용하고 있는데 대부분 육류 생산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들은 “소고기 400g을 먹지 않으면 6개월 동안 샤워를 하지 않는 것보다 더 많은 물을 절약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먹지 않는 것, 안 쓰는 것, 이것이 대안은 아닐 것이다. 적절하게 사용하고 적절하게 먹는 것. 이것은 내 몸의 다이어트를 위해서뿐 아니라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서도 우리가 결단해야 할 행동영역인 것이다.

계속적으로 기후 위기에 어떠한 것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계속 찾아보렵니다.

반응형